19일 통계청이 '구직 단념자' 현황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직 단념, 절반은 여전히 청년 - 경향신문 (지난 19일) <br /> <br />"취업 쉴게요"…2030 청년 46.8% 구직 단념 '역대 최대' - MBN (지난 19일) <br /> <br />청년층도 심각하지만, 인구 고령화로 노인 일자리 구하기 경쟁이 치열해, 노인 구직 단념자도 지난달에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나온 한국은행 보고서를 보죠. <br /> <br />코로나19의 상흔 :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보고서 <br /> <br />코로나 사태 이후 실업 장기화 - 실업 장기화, 구직 단념자 증가로 이어져 - 장기 실업자, 단기 실업자보다 증가 속도 1.7배, 포기율 2배 <br /> <br />자료 : 한국은행 <br /> <br />여기서 작용하는 게 '이력현상'입니다. <br /> <br />'이력 현상' - 실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경력 공백에 따른 낙인 효과 등으로 취업이 더 힘들어지는 현상 - 여성·청년층에게 더 강하게 작용 <br /> <br />한국은행 보고서가 지적한 것과 관련해 생각해 볼 문제가 일자리의 '미스매치'입니다. <br /> <br />① 고용주·구직자 간 '미스매치' - 양질의 좋은 일자리는 늘 부족 - 구인난·구직난 동시 발생 <br /> <br />이것과 비슷한 미스매치가 또 있습니다. <br /> <br />② 대기업·중소기업 간 불균형 - 중소기업, 대기업 인력난 7배 <br /> <br />③ 정규직·비정규직 불균형 <br /> <br />④ 수도권·비수도권 간 일자리 격차 <br /> <br />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. <br /> <br />'국가 균형 발전' 전략의 큰 틀에서 추진 <br /> <br />코로나19 상황에 맞춘 일자리 <br /> <br />유망 산업 투자 활성화…양질의 일자리 <br /> <br />정규직·비정규직, 원청·하청, 대기업·중소기업 격차 해소 <br /> <br />변상욱의 앵커리포트였습니다.<br /><br />YTN 변상욱 (byunsw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72119224239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